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물이야기26

오미자와 목련 남오미자분포 : 중국, 대만, 일본; 제주도 및 남해안 도서 임연부  형태 - 수형 : 상록 활엽만 목이다. - 수피 : 오래된 줄기는 갈색의 코르크질이 발달한다. - 잎 : 어긋나며 혁질로 되어 있다. 장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5~11cm, 너비 2.5~5.5cm, 작은 치아상의 가치가 드물게 있다. 뒷면은 자주색을 띠는 것이 많다. - 꽃 : 6~8월경 잎겨드랑이에서 담황백색의 꽃이 피며 암수딴그루이거나 드물게 암수한그루 양성화이다. 지름이 1.5cm 내외로 꽃잎 모양의 것이 9~15개 있는데 꽃잎과 꽃받침의 구별이 어렵다. - 열매 : 10~11월에 붉은색으로 성숙하고 장과이며 공처럼 밀착하여 있다.  조림 · 생태 · 이용- 양지바른 산기슭의 전석지에서 산수국, 흑오미자, 사스레피나무 등과 혼.. 2024. 12. 26.
나무 번식과 식물의 환경 번식하기식물을 기르다 보면 화초의 부피나 수가 증가하게 되는데 식물이 스스로 늘어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인위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을 증식 또는 번식이라 한다. 번식은 종자번식(유성번식), 영양번식(무성번식)으로 나뉜다.   1. 씨 뿌리기씨앗은 큰 것에서부터 작고 미세한 것까지 크기가 다양하며 발아하는 과정도 서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씨앗을 자가 생산하는 식물도 있으나 대부분의 종자는 시중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파종 용 토와 용기 씨앗을 준비한 후 중간 정도 크기의 씨앗을 준비한 후 줄을 만들어 씨를 뿌리고 흙을 덮는다. 새싹이 자랄 정도의 온도와 수분을 유지해 준다. 습도가 너무 높으면 새싹이 쉽게 썩으므로 환기를 시켜주고 새싹에 뿌리가 내리면 배양토를 너무 축축하지 않게 한다. 물을 줄 때는 물을 부.. 2024. 12. 25.
나무 잘 키우는 방법 - 분갈이, 병충해 분갈이 분갈이의 필요성  화분에 심어진 식물은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나면 뿌리를 담고 있는 용기의 토양이 부족해진다. 이렇게 되면 식물은 필요한 양분이나 수분 공급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썩어 버리므로 분갈이를 통해 새로운 흙을 채워 식물에 필요한 미량 요소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분갈이 시기화분 속의 뿌리가 많아져서 화분 구멍으로 뿌리가 나올 때포기가 커지거나 뿌리가 많아져서 배양토 표면으로 뿌리가 나올 때토양 표면에 이끼, 잡초가 끼어 뿌리의 호흡을 방해할 때1년에 한 번 봄에 하는 것이 좋으며 매년 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뿌리, 잎, 줄기의 상태를 봐서 분갈이하는 시기를 결정한다. 10월 이후에는 하지 않지만 최저온도가 15℃가 유지되는 온실이라면 괜찮다.분갈이 방법1. 새 화분과 .. 2024. 12. 14.
나무 잘 키우는 방법 - 물 주기, 비료 주기 물 주기물 주기는 식물을 가꾸는 데 가장 중요하면서도 어렵습니다. 실내에서 기르는 대부분의 식물은 말라서 죽는 것보다 물을 너무 많이 주어서 죽는 경우가 많은데 식물의 재배 환경이나 수분 요구도 등에 대해 알아보아요. 수분의 역할 식물을 70~95%의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은 빛과 더불어 식물이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환경 인자 중 하나입니다. 식물 체내에 양분을 나르는 이동 매체로 쓰인다. 주변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가는 것을 막아주는 증산작용을 통해 식물 체내 온도를 유지한다. (잎의 기공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주변 습도를 높여 온도를 떨어뜨리는 효과)토양의 필요한 자양분을 흡수하여 잎까지 전달하는 일을 돕는다.식물체를 지탱해 주는 역할을 한다. 수분의 요구도 물 주기는 식물을.. 2024. 12. 12.
선인장은 어떤 식물일까? 선인장이란? 선인장의 가장 큰 특징은 잎 대신 가시를 가지고 있으며 보통 식물에서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구형, 평형, 원형, 원통형 등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형태적으로는 선인장도 다육식물에 속하나 선인장과 식물이 많이 있기 때문에 선인장과 그 외의 다육식물로 나뉜다.   오랜 건조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많은 수분을 오랫동안 보유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선인장 가시는 사막에서 잎의 증산을 막기 위해 퇴화하여 생긴 것이며 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선인장은 원산지에서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되기도 하나 원예식물로서의 가치가 더 크고 나뭇잎선인장아과, 부채선인장아과, 기둥선인장아과로 크게 분류한다.    원산지와 분포  원산지는 남북아메리카 대륙과 그 주위 많은 섬 들이며 주요 .. 2024. 12. 10.
허브란? 허브란?  향기가 있는 식물이라는 의미로 예로부터 향초, 약초, 향신료로 사용되는 식물의 총칭으로 향신채라고도 합니다. 허브의 이용 부위와 범위가 다양해져서 향료, 약용, 채소 양념, 식품 보조제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에서는 '잎이 나 줄기가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거나 향과 향미로 이용되는 식물'을 허브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허브는 '향이 있으면서 인간에게 유용한 식물'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이 단옷날에 머리를 감는 데 쓰던 창포와 양념으로 빼놓을 수 없는 마늘, 파, 고추, 그리고 민간요법에 쓰던 쑥, 익모초, 결명자 등을 모두 허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허브의 역사 허브는 푸른 풀을 의미하는 라틴어 'Her bar'에 어원을 두고 있는데 기원전 4세기경의 그리스 학자.. 2024. 1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