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이야기

서양측백류 병충해와 관리법

by blog11040619 2024. 12. 3.
반응형

 

요즘 일반 가정이나 카페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서양측백나무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서양측백나무는 울타리로 심는 경우도 많고, 단정한 정원을 가꿀 때 고려되는 나무입니다.
인기가 많아지는 만큼 나무를 관리하는 방법도 중요합니다.
서양측백나무가 겪는 병충해와 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잎의 갈변현상

상단부나 가장 끝에 있는 갈변이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보통은 햇빛이 많이 받는 부분에 발생하는데요, 이 경우의 80%는 물이 부족해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가뭄에도 잘 견디는 나무지만 새로 옮겨심은 지 얼마 되지 않았을 경우에 이파리 끝이 갈변하는 현상이 잘 생깁니다.


뿌리를 잘 내리게 해 주면 이파리의 갈변현상은 막을 수 있습니다.

뿌리가 안정적으로 내리기 전까지는 물을 직접 주어 관리해야 합니다. (1년 정도)
심하게 타지 않고 끝부분만 갈변했을 경우에는 금방 회복이 되기 때문에 물만 잘 주면 됩니다.
일주일에 3~4회 1회당 약 1L가량 준다는 생각으로 물을 주세요.

 

 

 

 

2. 연하게 황변하는 현상

초록색이 아니라 연한 노란색으로 보이는 경우는 영양결핍이 발생한 경우입니다.
다른 곳에 옮겨 심거나, 심은 지 얼마 안 되었을 경우에 주로 나타납니다.
식재 후 비료를 주는 것이 좋고, 비료를 주었는데도 황색으로 변하는 경우에는 비료를 더 주어야 합니다.


차가운 바람을 많이 맞으면 전체적으로 황색을 띠게 되는데, 겨울철에 많이 나타나고 계절이 지나고 따뜻해지면 다시 초록색으로 돌아옵니다.
봄, 여름에는 비료를 줘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늦은 가을에 비료를 많이 주면 동해의 원인이 되므로 가을에는 비료를 주지 않도록 합니다.

 

 

 

3. 이파리가 탄 것처럼 검은색으로 변하는 경우

이파리가 새까맣게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깍지벌레가 발생했을 경우에 이렇게 새까맣게 이파리가 변합니다.
깍지벌레는 작은 갈색 벌레인데, 나무에 기생하면서 나무에 배설하게 되고 배설물에 의해서 이파리가 까맣게 변하게 됩니다.

 

이파리가 검은색으로 변한 경우에는 살충제로 벌레를 제거하거나 알코올을 뿌려주도록 합니다.
영양이 많이 없거나, 배수가 안 되는 토양, 물이 너무 부족한 경우는 깍지벌레가 기생하기 좋은 환경이 되므로 주의하세요.

 

 

 

 

4. 뿌리썩음병

뿌리썩음병은 주의 깊게 보아야 합니다.
이파리가 적갈색으로 변하면서 점점 나무 전체로 퍼져나가다가 나무 전체가 적갈색으로 변하고 뿌리가 다 썩어버려 죽는 병입니다.


서양측백류는 울타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걸린 경우에는 나무 색깔이 변해서 미관상의 가치가 떨어지게 됩니다. 

초록 잎이 가득하게 관리해 주어야 아름다운 울타리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부분부터 색상이 변하는지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뿌리썩음병은 배수가 원활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통풍과 배수가 잘되지 않는 경우, 뿌리가 산소를 받지 못하면서 서서히 썩어갑니다.

이때, 뿌리썩음병인지, 물이 부족해서 생기는 갈변 현상인지 잘 구분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이렇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뿌리썩음병 - 햇빛을 많이 받는 부분이 아닌데도 이파리가 적갈색으로 변하는 경우

수분부족 갈변현상 - 햇빛을 많이 받는 부위의 끝부분에서부터 서서히 갈색으로 변하는 경우

 

좀 더 정확하게 보기 위해서는 흙을 조금 파내서 흙의 상태를 보아야 합니다.
파낸 흙이 물을 잔뜩 머금고 있다면 뿌리가 썩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5. 응애 병

서양측백류에서 흔히 발생하는 병입니다. 

응애가 이파리마다 달라붙어서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어 이파리 색상이 칙칙해지다가 누렇게 변하는 현상입니다. 

응애 병은 미리 방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4, 5월부터 응애약을 뿌려주고, 1년에 3, 4회 정도 방제해 주면 됩니다. 

 











반응형

'식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인장은 어떤 식물일까?  (0) 2024.12.10
허브란?  (0) 2024.12.10
2025년 가드닝 트렌드  (0) 2024.11.23
신사임당과 초충도의 식물들 이야기  (0) 2024.11.20
그라스 정원 만들기 - 그라스 관리법  (0)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