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9

허브란? 허브란?  향기가 있는 식물이라는 의미로 예로부터 향초, 약초, 향신료로 사용되는 식물의 총칭으로 향신채라고도 합니다. 허브의 이용 부위와 범위가 다양해져서 향료, 약용, 채소 양념, 식품 보조제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에서는 '잎이 나 줄기가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거나 향과 향미로 이용되는 식물'을 허브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허브는 '향이 있으면서 인간에게 유용한 식물'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이 단옷날에 머리를 감는 데 쓰던 창포와 양념으로 빼놓을 수 없는 마늘, 파, 고추, 그리고 민간요법에 쓰던 쑥, 익모초, 결명자 등을 모두 허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허브의 역사 허브는 푸른 풀을 의미하는 라틴어 'Her bar'에 어원을 두고 있는데 기원전 4세기경의 그리스 학자.. 2024. 12. 10.
서양측백류 병충해와 관리법 요즘 일반 가정이나 카페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서양측백나무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서양측백나무는 울타리로 심는 경우도 많고, 단정한 정원을 가꿀 때 고려되는 나무입니다.인기가 많아지는 만큼 나무를 관리하는 방법도 중요합니다.서양측백나무가 겪는 병충해와 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잎의 갈변현상 상단부나 가장 끝에 있는 갈변이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보통은 햇빛이 많이 받는 부분에 발생하는데요, 이 경우의 80%는 물이 부족해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입니다.가뭄에도 잘 견디는 나무지만 새로 옮겨심은 지 얼마 되지 않았을 경우에 이파리 끝이 갈변하는 현상이 잘 생깁니다.뿌리를 잘 내리게 해 주면 이파리의 갈변현상은 막을 수 있습니다.뿌리가 안정적으로 내리기 전까지는 물을 직접 주어 .. 2024. 12. 3.
2025년 가드닝 트렌드 2024년이 1달 정도밖에 남지 않았네요. 2024년은 자연주의 정원이나 컬러 조경 등이 유행했습니다. 2025년에는 어떤 가드닝이 많은 관심을 받게 될까요?   벌써 2025년 인테리어 트렌드가 발표되었습니다. 식물과 인테리어를 연결해서 어떤 가드닝이 인기를 얻게 될지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에는 자연 친화적인 디자인이 유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식물을 활용한 디자인이 주목받고, 실내에서도 자연 속에 있는 듯한 공간이 많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자연과의 연결이 키워드가 될 수 있겠습니다.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가드닝과 인테리어에도 지속 가능한 디자인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1. 지속 가능한 정원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조경방식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에너지와 물의 소모.. 2024. 11. 23.
신사임당과 초충도의 식물들 이야기 오죽헌을 몇 번 다녀왔었는데요. 갈 때마다 신사임당이 그림을 그렸다던 정원이 참 인상 깊었습니다.그래서 오늘은 신사임당의 작품과 작품에 등장한 식물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신사임당 신사임당은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조선시대 중기에 활동한 화가이자 시인입니다. 율곡 이이의 어머니로도 유명합니다.  결혼 후에는 친정인 강릉과 시댁인 경기도 파주를 오가며 생활했는데, 친정인 강릉에서 작품활동을 활발히 했습니다. 강릉에는 사임당의 친정이자 율곡 이이의 외가인 오죽헌이 있고, 이 오죽헌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주택으로 인정받아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오죽헌에는 사임당이 친정에 머무르며 지었던 시와 그림을 그렸던 정원도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오죽헌 내에 있는 나무와 정원에 있는 식물들을 살펴보겠.. 2024. 11. 20.
그라스 정원 만들기 - 그라스 관리법 최근에 유명한 카페나 펜션들을 보면 정원에 그라스 종류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모양뿐만이 아니라 질감이나 색감 등 원색적인 정원에도 세련된 느낌을 줄 수 있어요. 자연주의 정원이 유행하면서 자연스럽게 그라스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높아진 것 같습니다. 오늘은 그라스에 대해서 좀 알아볼게요^^  특징1. 성장이 빨라요.저희 정원에도 억새를 군데군데 심어놨어요. 1년 정도 되니까 성인 키만큼 자랐습니다. 굉장히 잘 자랍니다.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아도 무럭무럭 자라 있어요.가을~겨울쯤에는 예쁘게 볼 수 있는 나무가 단풍나무 정도밖엔 없는데, 그라스가 분위기를 잘 살려주고 있고, 눈이 오면 더 멋지답니다.  2. 번식이 쉬워요. 관리가 용이합니다. 신경을 많이 쓰지 않아도 잘 자라고, 노지 월동도 가능해서 키.. 2024. 11. 18.
나무의 건강 상태 알아보기 나무는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에서 큰 역할을 합니다.  나무는 새, 곤충 및 기타 동물에게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하죠. 탄소를 가두어 공기를 정화하고 산소를 공급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홍수의 흐름을 막고 토양을 안정화하여 토양 침식과 산사태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런 나무의 건강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는 보고 있는 나무가 어떻게 생겼는지 이해하는 거겠죠?  무엇을 보면 나무의 상태를 알 수 있을까요?    나무의 건강이 나빠지는 원인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로 나뉩니다. 생계 - 박테리아 및 곰팡이 해충뿐만 아니라 곤충 및 더 큰 동물. 무생물 - 화학 작용제(예: 오염), 기계 손상, 토양 상태, 수분의 수준 및 날씨.  주의해야 할 징후  1. 잎.. 2024. 1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