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이야기

백당나무, 불두화, 배암나무

by blog11040619 2025. 1. 16.
반응형

 

아왜나무

일본, 대만, 필리핀; 남부지역 및 제주도 산지에 분포한다. 

 

수형 - 상록활엽교목으로 수고 6m이다.

수피 - 흑갈색이다.

잎 - 마주나며 길이 6~20cm, 너비 4~8cm, 타원형으로 둔 두 이다. 

꽃 - 백색으로 6~7월에 피며 끝에 원추꽃차례가 달린다. 화관은 길이 5~6mm,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이다. 

열매 - 9월에 적색에서 흑색으로 성숙하며 타원형이고 길이 1cm이다. 

 

음수로 산록 및 계곡부 수림에 자생하고 내한성이 약하여 온대 남부 및 난대에 심을 수 있다. 속성수로 번식과 이식이 잘 되며, 주홍색 열매는 관상 가치가 있다. 정원수로 이용된다. 산 울타리용, 방화수, 해안 방풍수종으로 쓰인다. 

 

 

백당나무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수형 - 낙엽활엽관목으로 수고 3m이다. 

수피 - 회갈색을 띤다. 

겨울눈 - 가지 끝에 2개의 가짜 끝눈이 달린다. 난형~장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가 5~8mm이고 2쌍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잎 - 마주나며 끝부분이 흔히 3개로 갈라진다. 윗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다. 길이 5~10cm 정도로 거의 원형이고 갈라진 열편은 예도이다. 뒷면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2~3.5cm로 끝에 2개의 밀선이 있고 밑에 턱잎이 있다. 

꽃 - 백색으로 5~6월에 피며 끝에 취산꽃차례가 달린다. 꽃차례 가운데에는 유성화관이 있고 바깥쪽에는 중성 화관이 있다. 중성 화관은 지름 3cm이고, 유성 화관은 지름 5~6cm로 5개의 열편으로 갈라진다.

열매 - 9월에 붉게 성숙하며 둥근 모양이고 지름 8~10cm이다. 

 

계곡과 산허리의 습기 있는 지역에서 군락을 이루어 자란다. 직사광선이 강하게 내리쬐는 곳보다는 적당하게 그늘이 지는 곳이 좋다.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잘 자라는 식물로 내 음성이 강하고 건조하에는 약하다. 정원수로 심는다. 수피를 약용한다. 

불두화

 

불두화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수형 - 낙엽활엽관목으로 수고 3m이다. 

수피 - 회갈색을 띤다. 

겨울눈 - 가지 끝에 2개의 가자 끝눈이 달린다. 난형, 장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가 5~8mm이고 적갈색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잎 - 마주나며 끝부분이 흔히 3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다. 길이 5~10cm 정도로 거의 원형이고 갈라진 열편은 예도이다. 뒷면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2~3.5cm로 끝에 2개의 밀선이 있고 밑에 턱잎이 있다. 

꽃 - 백색으로 5~6월에 피며 가지의 끝에 취산꽃차례가 달린다. 모두 무성화이다. 

열매 - 결실이 되지 않는다. 

 

백당나무의 품종으로 무성화가 핀다. 백당나무는 실생으로 번식이 가능하지만 불두화는 유성번식이 불가능하므로 삽목으로 번식한다. 이른 봄에 숙지삽, 여름에 녹지삽을 실시하며 해가림을 설치한다. 백당나무에 비해 화서가 공처럼 둥근 형태이므로 아름답다. 공원수, 정원수, 조경수 등으로 이용 가치가 매우 놓다. 

 

 

배암나무

중국 동북; 중부 이북, 강원도 설악산의 높은 산지에 분포한다. 

 

수형 - 낙엽활엽관목으로 수고 2m이다. 

겨울눈 - 2개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잎 - 마주나며 장상으로 2~4개 갈라지지만 끝분은 갈라지지 않는다. 길이 5~10cm, 표면에는 털이 약간 있으나 없어지며 선점이 있다. 뒷면에는 선점과 맥 위에 성모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5~20mm이고 성모가 있으나 없어지며 턱잎이 있다. 

꽃 - 녹백색으로 5~6월에 피며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가 달린다. 꽃차례는 모두 유 성화이다.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화관보다 짧다. 

열매 - 9월에 붉게 성숙한다. 종자의 복면에 넓은 홈이 있다. 

 

강원도 이북의 해발 900m 이상의 임연부에 생육한다. 증식은 삽목과 분주에 의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관상용 조경수, 공원수 등으로 심지 않고 있지만 앞으로 개발 가치가 매우 높다. 우리나라에서 자생지가 매우 제한되어 있어 자생지의 현지 내 보존과 자생지 이외 지역의 현지 외 보존 가치가 매우 높은 수종이다. 

 

 

덜꿩나무

중국, 일본; 중부 이남 산지에 분포한다. 

 

수형 - 낙엽활엽관목으로 수고 2m에 달한다. 

수피 - 회색~회갈색이며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겨울눈 -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별 모양의 털로 덮인 2~4개의 눈비늘조각에 싸여있다. 

잎 - 마주나며 길이 4~10cm, 너비 2~5cm,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표면에 성모가 드물게 있고, 뒷면에는 성모가 밀생하며 맥 겨드랑이에 갈색 또는 흰빛의 긴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2~6mm로 털이 있고 턱잎이 있다. 

꽃 - 백색으로 4~5월에 핀다. 가지 끝에 복산형꽃차례가 달린다. 꽃차례에 성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에 성모가 있고 화관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9~10월에 붉게 성숙하며 지름 6mm이고, 종자의 양쪽에 홈이 있다. 

 

 

볕이 적당히 드는 숲 가장자리에 다른 잡초들과 어울려서 자란다. 토양은 보습성과 배수성이 좋은 사질양토가 좋다. 내한성이 매우 강하고 양지와 음지 모두에서 잘 자라며 건조에도 다소 강한데, 내 조성과 내공해성은 보통이다. 

 

 

가막살나무

일본, 중국; 남부지역 산지에 분포한다. 

수형 - 낙엽활엽관목으로 수고 3m이다. 

잎 - 마주나며 길이 6~12cm, 타원형, 난 상 원형이며 갑자기 좁아지는 점첨두이다.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6~20mm이고 턱잎이 없다. 

꽃 - 백색으로 5월에 피며 복산형꽃차례가 가지 긑에 달린다. 꽃차례에 성모와 선점이 있으며 화관에는 성모가 있고 수술이 화관보다 길다. 

열매 - 9~10월에 붉게 성숙하며 광난형이며 지름 8mm이다. 

 

양지와 음지에서 모두 잘 자라며 산허리 이하의 숲속에 생육한다. 열매를 채취하여 정선한 후 2년간 노천매장 하였다가 파종해야 발아가 되고 품종이 좋은 것은 꺾꽂이로 증식한다. 내한성이 강하며 내 음성과 내 조성도 조은 내공해성 나무이다. 조경수, 정원수 등으로 이용 가치가 높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