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를 할 때는 경제적 대세 판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세상승기에는 투자 수익을 내기가 쉽지만 대세하락기에는 전문가도 수익을 내기 어렵습니다.
대세를 판단하는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경기변동과 주가는 동행한다.
경기가 상승하면 주가도 올라가고, 경기가 하락하면 주가도 하락하죠.
경기는 회복기, 활황기, 후퇴기, 침체기로 순환하는데 길게는 4~5년 짧게는 6개월~1년 사이클로 변동합니다.
주가는 경기보다 선행하고 금리는 경기보다 후행하는데, 주가는 경기를 예측해서 한발 앞서 움직이고, 금리는 경기를 확인한 다음에야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경기가 좋다 나쁘다는 GDP성장률로 판단한다
GDP(국내총생산) : 한 나라에서 기업과 정부, 가계 등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고 합산 한 것을 말합니다.
1인당 GDP라는 이야기를 많이 접해보셨을텐데요.
국내총생산 GDP를 인구수로 나눈것을 말합니다.
즉 우리나라의 경제주체가 생산한 재화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금액을 10,000원이라고 봤을 때,
인구가 100명이라면 1인당 GDP는 100원이 되는 것이지요.
GDP가 1,000,000원인데 인구가 100명이라면 1인당 GDP는 10,000원이 되겠죠.
100명이 창출해내는 재화의 가치가 높아졌기 때문에 경기가 좋다고 평가하게 됩니다.
GDP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생산, 투자, 소비, 소득이 증가하여 경제가 확대된다는 뜻이에요.
기업 입장에서 보면 매출과 이익이 증가하죠.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증가하면 기업의 가치가 높아진다는 뜻이므로 주가도 상승하게 되는 겁니다.
GDP성장률과 주가의 관계를 정리해 볼까요?
▶ GDP성장률이 높음 → 경제가 좋고 주가도 상승추세
▶ GDP성장률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 → 경제가 좋아지고 주가도 상승할 것
▶ GDP성장률이 낮거나 마이너스 → 경제가 좋지 않으며 주가도 하락추세
▶ GDP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 → 경제가 나빠지고 주가도 하락할 것
모든 경기를 GDP성장률로만 평가할 수 없지만 GDP는 경제용어에서 기본이기 때문에 상관관계를 알아두면 좋아요.
2. 통화량은 주가와 동행한다.
통화량이란?
통화량은 실제 나라 안에서 사용되고 있는 돈의 양을 말합니다. 수표나 현금, 예금까지도 포함되는 개념이에요.
통화량이 증가하면 주가가 올라가고 통화량이 감소하면 주가가 내려갑니다.
에를 들어 예상 경제성장률이 3%, 예상 물가상승률이 1.5%이면 적정 통화증가율은 1.5%전후로 결정합니다.
(경제성장률 3% - 물가상승률 1.5% = 적정 통화증가율 1.5%)
2008년 미국 월가에서 촉발된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로 세계경제가 침체기로 접어들자 미국 등 각국은 금리를 제로에 가까울 만큼 내리고 시중에 막대한 돈을 풀었습니다.
그 결과 증시는 2001년부터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세로 전환하였습니다.
3. 환율과 주가
일반적으로 원화 환율이 올라간다는 것은 원화 가치가 떨어진다는 의미이고,
원화 환율이 내려간다는 것은 원화 가치가 올라간다는 의미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1,100원에서 1,000원으로 떨어졌다는 의미는
지금까지 1,100원을 들여 1달러를 사왔는데, 이제 1,000원으로 살 수 있다는 뜻이므로 우리나라 돈의 가치가 그만큼 높아진 것 입니다.
환율이 떨어지면 즉, 원화 가치가 올라가면 수출금액이 감소합니다.
같은 1억 달러를 수출해도 환율이 1,100원일 때는 1,100억 원의 자금이 들어오지만 환율이 1,000원으로 떨어지면 1,000억 원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오죠.
따라서, 수출의존도가 높은 기업은 환율이 떨어지면 불리해지고 주가 하락의 원인이 됩니다.
그러나 석유와 식품의 원료처럼 원자재를 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기업은 거꾸로 유리해지죠.
또, 한국증시에 투자하기 위해 들어온 외국인은 유리해집니다.
주식투자에서 20%수익이 나더라도 환율에서 10% 손해를 보면 투자수익이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이죠.
요약하면 환율의 하락은 기업수익 면에서는 마이너스 효과이므로 주가 하락의 요인이 되지만, 증권시장으로의 자금유입 측면에서 보면 주가 상승 요인이 되는 양면성이 있습니다.
환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경제가 그만큼 좋다는 의미도 되기 때문에 주가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것은 환율이 안정적으로 하락하는 것입니다.
환율이 하락하면(원화 가치 상승) 주가가 강세를, 환율이 상승하면(원화 가치 하락) 주가가 약세를 보입니다.
2025.01.27 - [분류 전체보기] - 주식 초보자들도 쉽게 이해하는 경제상식 - 인플레이션
주식 초보자들도 쉽게 이해하는 경제상식 -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이란? 시장에 통화량이 많아져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고 물가가 오르는 현상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발동되면 똑같은 금액이라고 해도 물가가 올라있기 때문에 살 수 있는 물건의 양
www.bellboy-steward.com
경제원리의 기본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았습니다~
경제뉴스 들으며 경제와 더 친근해지길 바래요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관세 전쟁과 세계1위 대한민국 조선업 관련주 (0) | 2025.05.12 |
---|---|
위믹스(WEMIX) 상장 폐지와 해킹,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자! (0) | 2025.05.04 |
위믹스? 쉽게 이해하자! (0) | 2025.05.04 |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달러투자의 기본원리 (0) | 2025.02.05 |
주식 초보자들도 쉽게 이해하는 경제상식 - 인플레이션 (0) | 2025.01.27 |